그래서 주식이 뭔데? 주식 개념 잡기
요즘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많은 분이 경제활동에 지장이 생겨 근로소득 외에 재테크 등 부가수입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중 단연 많이 들리는 것은 주식일 것이다. 다들 돈 좀 만졌다는 주식은 어떤 원리인 것일까? 쉽게 이해해보자.
ㅡ Contents ㅡ
1. 주식이란?
2. 주식거래 원리
3. 주식거래 방법
4. 주식투자 종류
1. 주식이란?
주식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증권을 알아야 한다. 증권은 '기업의 자산분배, 이익 분배에 참가할 것을 증권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권리 또는 증서'로, 국내 증권은 금융감독원의 감시하에 한국거래소를 통해 발행, 유통된다.
- 기업은 왜 증권을 발행할까?
기업은 지속적인 경영을 위해 막대한 운영자금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금을 기업 혼자 충당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증권을 발행해 투자받는 것이다.
또한 증권엔 주식뿐만이 아니라 채권과 기타 보증부채도 있다.
증권 | ||
주식 | 채권 | 기타 보증부채 등 |
- 주식과 채권은 어떤 차이?
투자자 수익적인 측면에서 간단히 설명하겠다.
주식은 직접 기업의 주주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만기일이 없고 주가가 오르거나 배당을 하면 수익을 얻는다. 때문에 투자금보다 훨씬 많은 수익을 거둘 수도 있지만 반대의 경우 원금도 보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채권은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선 빚을 지는 것. 때문에 만기일이 있고 만기일에 정산하며 이자를 제공하는 고정수익증권이다. 주식과 다르게 발행자가 채무 불이행 시에도 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있어 '안전자산'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주식 만큼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없다.
* 채권은 발행처에 따라 국채, 회사채, 은행채로 나눌 수 있다.
추가로 펀드(Fund)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신탁받아 전문 운용기관이나 전문가가 여러 종류의 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이익을 내고 이를 투자지분에 따라 배분하는 간접투자제도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관련하여 투자를 하고싶은데,어떤 주식이 좋고 나쁜지 모르겠고 직접 투자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럴 때 펀드가 유용할 수 있다. 자동차 전문가들이 자동차 관련 좋은 주식들을 선별해 만든 펀드에 투자하면 되는 것.
2. 주식거래 원리
처음 주식을 하겠다고 마음먹었을 땐 내가 원하는 만큼 원하는 시간에 살 수 있는 것인 줄 알았다. 온라인 쇼핑몰의 물건처럼 말이다. 과거의 나처럼 귀여운 분들을 위해 주식거래 원리를 적어보겠다.
기본적으로 주식은 무한정 매입할 수 있는게 아니다. 기업이 발행한 수량 내에서 사고파는 것이다. 또한 주식거래는 주식시장에서 할 수 있는데 한국 주식시장은 평일 09:00~15:30에 운영된다. 운영시간 내에 아래와 같이 거래가 일어난다.
사진을 보며 이해해보자.
사진의 가운데줄 숫자들이 주식의 가격이다. 사진캡처 당시엔 중앙 테두리 안의 10,665원에 거래가 성사되고있다. 이 값이 곧 주가(주식의 가격)이다. 10,665를 기준으로 위쪽의 파란 부분이 매도(판매) 주문이고, 아래 빨간 부분이 매수(구매) 주문이다.
가격 옆, 막대그래프 안의 숫자들은 해당 가격에 매매를 희망하는 주식의 개수다. 예를 들어 10,670원의 왼쪽엔 48,173이 쓰여있는데 이는 10,670원에 주식을 팔겠다는 주문이 48,173개 걸려있다는 뜻이다.
위에서 설명했듯 주식은 한정된 수량을 서로 사고파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주식을 매수하려면 누군가는 반드시 매도해야 한다. 이때 서로 매매하고자 하는 희망 가격이 일치되면 거래가 체결된다(사진의 10,665원).
하지만 희망 가격이 다르다면 사진처럼 체결되지 않는 주문이 쌓이게 된다. 보통 파는사람은 비싸게 팔고, 사는사람은 싸게 사려하기 때문.
매수하고자 하는 주문이 더 왕성하면 주가는 오르게 되고 반대의 경우엔 주가가 떨어진다.
3. 주식거래 방법
주식시장에서 주식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증권사에서 개설한 계좌가 필요하다.(계좌 개설엔 휴대폰과 신분증이 필요)
국내엔 다양한 증권사가 있는데 매매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각종 이벤트 등 자잘한 차이 외에 큰 틀은 모두 같으니 자신의 취향대로 증권사를 고르면 된다.
증권사를 골라 계좌개설을 마쳤다면 컴퓨터와 스마트폰 중 어떤 환경에서 주식거래를 할지 정해야 한다. 보통 둘 다 사용한다.
1 컴퓨터 : 해당 증권사 홈페이지에 접속 → 자료실 → 'HTS프로그램' 다운로드, 설치 → 로그인
2 스마트폰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 증권사 어플 검색 → 다운로드, 설치 → 로그인
* 컴퓨터 매매프로그램 : HTS, 모바일 매매프로그램 : MTS
계좌개설과 프로그램 설치까지 마쳤다면 증권계좌에 주식투자에 사용할 돈을 입금해야 한다. 이를 예수금이라고 한다.
예수금까지 넣었다면 준비는 끝났다.
이제 자신만의 방법으로 종목(기업)을 선정해 주식을 매수하면 된다!
4. 주식투자 종류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투자방법이 극명하게 갈리게 된다. 대표적으로 가치투자와 단기투자(단타)가 있다. 사견 없이 두 방식 모두 사전에 철저히 준비한 뒤에 시도한다면 수익을 낼 수 있다. 하지만 투자방식 간의 차이가 극명한 것은 사실이니 꼼꼼히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 가치투자 : 투자자가 자신만의 판단기준으로 종목을 면밀히 분석해, 기업과 함께 간다는 마인드로 투자하는 것. 보통 장기투자로 이어지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투자의 대가들이 예찬한 투자 기법이다.
- 단기투자 : 변동성이 큰 종목에 단기로 투자하여 이론상 수익을 극대화 하는 매매법. 종목을 보유하는 시간에 따라 스캘핑, 오버나잇, 스윙 등으로 나뉜다.
주식을 시작하기 위한 지식을 포괄적으로 알아봤다.
당장 주식을 시작하고싶은 분들, 직접 하진 않지만 개념 정도는 알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란다.
방문한 모든 분이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