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식

부자되는 법! 복리란 무엇인가

소닉의 양봉장 2021. 1. 11. 16:19

모두의 워너비 부자

 

 

 부자에 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부자가 되고 싶냐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하나일 것이다. 

 

제발요

 

 부자가 되는 방법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복리'다. 복리의 개념과 연관된 공식들을 함께 알아보자.

 

 

 

 

 


 Contents  ㅡ 

 

1. 복리란?

 

2. 72 법칙

 

3. 부자 되는 방법

 

 


 

 

1. 복리란?

 

 복리란 단리와 함께 원금에 대한 이자 계산방식 중 하나다. 비교하며 설명하기 위해 단리와 함께 알아보자.

 

 

- 단리 : 이자가 원금에만 붙는 것.

Ex) A은행에 1000원을 예금했다. 해당 상품의 이자율은 단리로 연 10%이다. 그렇다면 1년간 예금했을 때 100원의 이자를 받는다. 마찬가지로 원금은 1000원이므로 매 해 이자는 똑같이 100원이다. 이렇게 20년간 예금하면 우리는 3000원을 받는다.

 

- 복리 : 원금에 대한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것.

Ex) A은행의 다른 상품에 똑같이 1000원을 예금한다. 이 상품은 위의 상품과 같지만 단리가 아닌 복리가 적용된다. 예금 후 1년까지는 단리와 같이 100원의 이자를 받는다. 하지만 다음부턴 원금에 이자를 더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된다. 

 

 글로는 큰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아래의 표를 보자.

 

  단리 복리
1년 1100 1100
2년 1200 1210
3년 1300 1331
  .  
  .  
  .  
5년 1500 1610.5
10년 2000 2539.7
20년 3000 6727.5

* 소수점 한 자리까지 표시, 단위 : 원

 

 1년까지는 같지만 이후엔 복리 쪽의 증가폭이 늘어난다. 20년이 지나면 단리와 복리의 차이가 무려 2배가 넘는다. 같은 원금임에도 복리가 적용된 결과다.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은 1년 → 10년의 증가폭 보다 10년 → 20년의 증가폭이 월등히 높다는 점이다. 이것이 우리가 복리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다. 적은 돈이라도 긴 시간의 복리와 만나면 무시할 수 없는 돈이 된다.

 

 부자들은 이런 복리의 특성을 일찍 깨닫고 돈을 헛되이 사용하지 않는다. 대다수의 부자들이 검소한 이유도 적은 돈의 가치를 잘 알기 때문이다. 

 

 예시를 은행 상품으로 들었지만 주식도 복리가 똑같이 적용된다. 보유한 주식의 주가가 변하고 있다면 복리 적용을 받고 있는 것이다.

 

 

 

 


 

 

2. 72 법칙

 

 

 

 72 법칙이란 복리투자를 통해 투자원금을 두 배로 늘리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주는 공식이다.

수식은 간단하다.

 

72 / 수익률(%) = 두 배가 되는 시간

* 100% 정확한 수치는 아니다

 

Ex) 1000만 원의 원금으로 복리 8%의 수익률을 꾸준히 낸다면 9년 뒤에 2000만 원이 된다.

 

 

  투자를 시작하며 계산해보면 향후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니 알아두자.

 

 

 

 


 

 

3. 부자 되는 방법

 

 부자가 되기 위해 거창한 비결이나 준비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생활 속의 작은 결심들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유튜브 채널 '신사임당'에서 진행된 자산관리사 유수진 님의 인터뷰를 인용해 알아보겠다.

 

 

"부자가 되겠다는 마음가짐."

 

 '부자'라는 목표를 세웠으면 그래야 하는 이유를 찾아야 한다. 이유와 목표가 없다면 부자가 되더라도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왜 부자가 돼야 하는지 알아야 멋지고 아름다운 부자가 될 수 있다고 한다.

 부자가 되는 길은 길다. 적어도 10년 - 15년은 걸리기 때문에 명확한 목표와 이유가 있어야 긴 시간을 버틸 수 있다. 자기 자신에게 동기부여가 잘 되어야 한다.

 

 

"자기 자신을 분석해야 한다."

 

 현재 나의 삶을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또한 내 성향과 잘 맞는 재테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먼저 집 정리 및 책상 정리 등을 해보라. 어지럽혀진 방이 내 머릿속과 비슷하다. 그리고 나의 삶도 보이게 된다고 한다.

 

 

 

"써요 마요 리스트 정리."

 

 무조건 참으며 지출을 줄이면 안 된다. 그럼 요요가 온다. 불필요한 지출은 없애고 쓸 땐 써야 한다. 그리고 나면 목표 생활비가 정리된다.

 또한 금융상품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정리가 필요하다. 적금, 펀드, 보험, 주식 등등 평가손익 향후 예상수령액 등 모두 정리해라. 대출도 마찬가지. 지자체의 복지상담센터나 복지지원센터의 대출 관련 상담은 받아도 좋다고 한다.

 

 * 인터뷰를 글로 옮긴 것으로 영상과 똑같지 않다. 아래 영상 참조.

 

'신사임당'채널 / 자산운용가 유수진 편

 

 


 

 

 포스팅하며 나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과 비슷한 방향성을 갖고 있지만 아직 생활이 일관되지 못하고 진중함이 부족한 것 같다. 인생은 한 번이고 소중하기에 항상 흐트러짐을 견제하며 가치 있는 삶을 살겠다.

 

 

 이 글을 보신 분들 모두 긍정적 영향받으시고 성공한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